EU의 새로운 포장 및 포장 폐기물 규정(PPWR):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변화
1. 규정의 발효 및 목표
2025년 2월 11일 발효된 EU의 포장 및 포장 폐기물 규정(PPWR)은 포장 폐기물의 발생을 줄이고 재사용 및 재활용을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의 포장 및 포장 폐기물 지침(Directive 94/62/EC)을 대체하며, 포장재의 전체 생애 주기를 아우르는 규칙을 마련했다. 이 규정은 포장재의 안전성 및 재활용 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2. 재활용 가능성 및 재사용
PPWR의 핵심 요건 중 하나는 2030년까지 모든 포장재가 재활용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기업들은 포장재의 재활용성을 고려하여 제작해야 하며, 소비자에게 재사용 가능한 포장 옵션을 제공해야 한다. 일정 비율의 제품은 재사용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예정이다.
3. 재활용 및 재사용 목표
PPWR은 포장 폐기물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고품질 재활용을 촉진하며, EU 회원국 간 포장 규정을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포장재의 재활용률을 70%로 높이는 것이 목표다.
4. 유해 물질의 단계적 제거
이 규정은 PFAS(Per- and polyfluoroalkyl substances, 과불화화합물)와 같은 유해 화학물질 사용을 단계적으로 줄이는 조치를 포함한다. 이는 포장재의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소비자와 환경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다.
5. 포장재의 최소화 및 라벨링
PPWR은 포장재의 무게와 부피를 최소화하도록 요구하며, 표준화된 라벨링을 통해 소비자가 쉽게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새로운 라벨링 체계는 2028년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6. PPWR의 영향: 포장 및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
PPWR은 2025년 2월 11일 발효되며, 포장 폐기물의 증가를 억제하고 2030년까지 완전한 순환 경제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포장재의 재활용과 재사용을 확대해 자원 효율성을 높이고, 환경 영향을 줄이는 것이 핵심이다. 이는 브랜드가 포장재를 설계, 조달 및 관리하는 방식을 완전히 개편하는 변화로서 모든 EU 회원국에서 더 엄격하고 표준화된 규칙이 시행될 예정이다.
- 의무적 재활용: 2030년까지 모든 포장재는 비용 효율적인 재활용을 위해 설계되어야 한다.
- 재활용 할당량: 플라스틱 포장재는 최소 재활용 목표를 충족해야 하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한다.
- 생태모듈레이션: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패키징 수수료가 조정된다. 재활용이 불가능하거나 환경적으로 해로운 재료를 사용할 경우 브랜드는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 폐기물 감소 목표: EU 회원국은 2040년까지 포장 폐기물을 15% 줄여야 한다(2018년 대비).
7. 결론 및 한국의 대응 방향
PPWR은 포장 및 포장 폐기물 관리를 강화하여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으며, 기업들에게는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제공한다. 기업들은 새로운 기준을 준수하면서 친환경 혁신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모색해야 한다.
EU 수출 기업의 사전 준비 필수
1) 법규 정비 및 국제 표준화 대응
한국의 포장재 규제 및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를 EU 기준과 정합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편해야 한다.
기업들이 EU의 새로운 규정을 준수할 수 있도록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야 한다.
2) 포장재 설계 및 재질 변경
친환경 포장재 사용을 확대하고 재활용 가능한 소재로 전환해야 한다.
불필요한 포장을 줄이고, 재사용 가능한 포장 솔루션을 도입해야 한다.
3) 인증 및 적합성 검토
PPWR에 맞는 적합성 선언서 및 테스트 리포트를 확보해야 한다.
기업들은 포장재가 PPWR의 재활용 기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하고 인증 절차를 사전에 진행해야 한다.
4) 비용 증가 대비 및 지원 활용
친환경 소재 적용 및 규제 준수로 인한 비용 증가가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비용 절감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정부 및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지원 정책과 펀딩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5) 유럽 시장 대응 및 파트너십 구축
유럽 내 유통업체 및 규제 기관과 협력하여 규정 준수를 확인하고 원활한 수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비해야 한다.
유럽 내 친환경 포장재 공급망을 확보하고 지속 가능한 패키징 전략을 개발해야 한다.
6) 소비자 인식 개선 및 마케팅 전략 조정
친환경 포장재를 활용한 제품을 강조하는 마케팅 전략을 구축해야 한다.
ESG 경영을 강화하여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소비자 신뢰를 확보해야 한다.
한국이 PPWR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친환경 포장 솔루션을 도입한다면, 국내 기업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환경 보호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