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_icon
추천 검색어
search_icon
최근 검색어
최근 검색내역이 없습니다.
실시간 검색어
추천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재구매장바구니
    메뉴
    재구매
    마이페이지

      6월 5일 세계 환경의 날

      

      환경의 날(World Environment Day)

      1972년 6월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하나뿐인 지구'를 주제로 인류 최초의 세계적인 환경 회의가 열렸습니다. 이를 통해 UN 산하에 환경전문기구인 유엔환경계획(UNEP)을 설치하기로 결의하고, 인간환경선언이 발표되었습니다. 이 회의에서 설립된 유엔환경계획은 1987년부터 6월 5일을 세계 환경의 날로 맞아 그 해의 주제를 선정하여, 대륙별로 나라를 정해 행사를 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환경의 날은 어떻게 시작하게 되었을까요?

       

      ▶한국에서의 환경의 날

      1970~1980년대 한국은 경제 개발을 우선으로 하는 국가 정책을 펴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환경보다는 국가의 발전에 힘썼습니다.하지만 1990년 환경정책기본법을 제정하고 분야별 개별법이 제정되기 시작하면서 환경법 체제의 대대적인 정비가 이루어졌습니다. 1992년에 리우 유엔환경개발회의에 참가하기도 했습니다. 1995년 6월 5일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이 날을 법정기념일로 정했습니다.

       

      ▶#BeatPlasticPollution

      The theme for World Environment Day on 5 June 2023 will focus on solutions to plastic pollution under the campaign

      2023년 환경의 날 주제는 '플라스틱 오염에 대한 해결책'입니다.

      올해는 #BeatPlasticPollution 주제로 코트디부아르가 네덜란드와 파트너십을 맺어 행사를 개최합니다.

      출처:환경의날 공식홈페이지

       

      2023년 환경의 날 주제인만큼, 플라스틱이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알아 봅시다!

      

      매일 플라스틱의 위협에 노출된 우리

      매일 4억 톤의 플라스틱이 생산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중 재활용되는 비율을 10퍼센트입니다. 결국 29~23천만 톤의 플라스틱이 바다와 강에 버려지고, 지구에 큰 위협이 됩니다. 많은 플라스틱 물건에는 유독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고, 미세플라스틱은 우리가 먹고 있는 음식과 물, 그리고 공기 중에 침투해 있습니다.

       

      ▶플라스틱이 미치는 영향

      1) 생태계에 끼치는 영향

      19~23억톤의 플라스틱이 해양생태계로 유출됩니다. 플라스틱은 전체 해양 쓰레기의 최소 85%를 차지하는 해양 쓰레기 중 가장 크고 가장 유해합니다. 플라스틱 오염은 육지, 강, 바다 등 다양한 유기체에 파괴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800종이 넘는 해양물에 위험을 끼치고, 90퍼센트가 넘는 새와 물고기가 플라스틱 입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은 토양에 축적이 되어서 농작물에 영향을 끼칩니다. 미세플라스틱 섭취는 생명체에 내분비 교란, 일부 종의 성장 둔화 및 소화 시스템 장애를 발생시킵니다.

      전세계 바다에 떠다니는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171조에 달하고 총 무게만 230만톤(t)으로 추정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연구진은 2005년 이후 해양 플라스틱 오염이 전례없이 증가하고 있어서 현재의 상태가 지속된다면 2040년에는 바다로 유입되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이 현재의 거의 3배에 달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2) 개도국에 끼치는 영향

      부유한 국가는 더 많은 플라스틱 폐기물을 생산하며, 폐기물 관리가 가장 덜 복잡한 저개발 국가로 너무 많이 유입됩니다. 재활용은 플라스틱 생산과 플라스틱 폐기물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재활용률은 전 세계적으로 여전히 낮습니다. 미국과 같은 경제적 선진국도 9%에 불과합니다.개발도상국의 지역 사회는 정부 지원이나 자금 부족으로 인해 플라스틱 오염의 환경, 건강, 사회 및 문화적 부담을 관리할 능력이 가장 적습니다. 즉, 여성, 어린이, 폐기물 근로자, 해안 지역 사회, 원주민 및 바다에 의존하는 사람들은 특히 잘못 관리된 폐기물을 옮기거나 태울 때 더 큰 영향을 받게됩니다. 이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나라일수록 플라스틱에 질식하면서, 더욱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3) 기후위기

      2019년 플라스틱은 전 세계 총 온실가스 배출량의 3.4%인 18억 메트릭 톤의 온실가스를 생성했습니다. 대부분의 플라스틱은 화석 연료에서 비롯되며 플라스틱 산업은 세계 석유 소비의 6%를 차지합니다. 기존 화석 연료 기반 플라스틱의 생산, 사용 및 폐기와 관련된 온실 가스 배출 수준은 2040년까지 전 세계 온실 가스 배출량의 19%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건강

      미세플라스틱은 피부의 흡입과 흡수를 통해 몸에 들어갈 수 있고 태반을 포함한 장기에 축적될 수 있습니다. 미세플라스틱에 있는 화학물질은 특히 여성의 건강에 영향을 미칩니다. 비만, 당뇨, 뇌건강, 암과도 연관이 있다고 밝혀졌습니다. 플라스틱 쓰레기를 태우는 것은 심장병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천식과 폐기종과 같은 호흡기 문제를 악화시키는 등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칩니다.

       

      ▶Solutions to plastic pollution

      1) 라이프 사이클 전반에 체계적 변화가 필요하다

      Consumer pressure is key, but real action needs to come from companies, investors, lawmakers and governments.

      소비자의 ANTI-플라스틱 움직임이 핵심입니다. 기업, 투자자, 국회의원 및 정부로부터 실질적인 조치가 나와야 하고요.

      플라스틱 오염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증상보다는 근본 원인을 해결하는 라이프 사이클 전반의 행동으로 체계적인 변화가 필요합니다. 플라스틱 대안으로의 전환은 매우 중요합니다. 플라스틱의 생산 및 소비와 관련된 모든 활동과 결과의 영향을 고려하는 라이프사이클 접근법을 도입해야 합니다. 원료 추출 및 처리를 재평가하고, 분리, 수집, 분류, 재활용 및 폐기와 같은 제조 프로세스, 제품 설계, 포장, 유통 및 수명 관리의 혁신이 포함됩니다.

      비닐 봉지를 금지하는 법안이 증가하고 있지만, 경제계에서 플라스틱을 생산하고, 소비하고, 보관하는 방식에 체계적인 변화를 일으킬 필요가 있습니다. 플라스틱 오염을 종식시키기 위한 해결책을 개발하기 위해 플라스틱 산업, 기업, 정부, 국제 기구 및 시민 사회를 포함한 여러 계획이 지난 몇 년 동안 추진력을 얻고 있습니다.

      2) 2024년 국제 플라스틱 협약 (UN Plastic Treaty), 법적 구속력

      2022년, 유엔 회원국들은 2024년까지 플라스틱 오염을 종식시키는 법적 구속력이 있는 협정을 만드는 결의안에 합의했습니다. 국제법으로 제정되는 세계 최초의 플라스틱 조약입니다. 국제 플라스틱 협약 (UN Plastic Treaty) 정부간 협상위원회(INC) 2차 협상은 5월 29일부터 6월 3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3) 개인실천방안

      - 과대 포장한 제품, 선물 세트 등 피하기

      - 재활용이 어려운 유색 페트병 대신 투명 페트병을 사용하고 분리배출하기

      - 플라스틱 통은 여러 번 재사용하기

      - 음료 마실 때 빨대나 일회용 플라스틱 컵 사용하지 않기, 텀블러 사용하기

      - 장바구니를 사용하기

      - 플라스틱 빨대의 대체재, 종이 빨대나 금속 빨대 사용하기

      - 패스트패션 지양하고, 가능한 한 오래입고 수선해입기

      - 해변, 강 청소하기

       

       

      ▶ESG 경영 파트너 칼렛스토어

      플라스틱 포장을 줄이는 방법, ESG 경영 파트너 칼렛스토어와 상의하세요!

      환경에 대한 인식, ESG 경영으로의 전환, 탄소중립을 향한 전세계적 동의 등이 맞물리면서 지속가능한 포장으로 교체해가는 기업이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칼렛스토어는 지속가능한 소재로 만든 다양한 포장재를 기성품 및 맞춤제작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성품 둘러보기

       

      맞춤제작 견적 바로가기

       

      'ESG 환경뉴스'의 다른 글
      2023-06-02
      23년 6월 02일 환경뉴스 모음
      23년 6월 02일 환경뉴스 모음

      칼렛스토어미래의 당연함을 만들다 기사 제목을 클릭하세요. 기후위기 시대…아르코미술관, 친환경 실천 매뉴얼 제작출처:노컷뉴스(요약)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미술관은 지속 가능한 미술관 운영을 위해 '필(必)환경 실천 매뉴얼'을 제작했다. 이 매뉴얼은 전시 기획·교육, 홍...

      2023-06-02
      23년 6월 05일 환경뉴스 모음
      23년 6월 05일 환경뉴스 모음

      칼렛스토어미래의 당연함을 만들다 기사 제목을 클릭하세요. ‘생수에서도 검출’ 미세플라스틱 논란, 해결책 있을까?출처:코메디닷컴(요약) 페트병에 담긴 생수에서 다량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었다. 이전에는 미세플라스틱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주장이 있었지만,...

      2023-06-05
      23년 6월 07일 환경뉴스 모음
      23년 6월 07일 환경뉴스 모음

      칼렛스토어미래의 당연함을 만들다 기사 제목을 클릭하세요. “글로벌 ESG 평가서 韓기업 90%는 중하위…톱은 SK와 네이버 뿐”출처:서울경제(요약) 세계적으로 평가받는 MSCI ESG 평가에서 AAA 등급을 받은 한국 기업은 단 세 곳으로, 대부분이 중하위권에 위치하고...

      2023-06-07
      23년 6월 08일 환경뉴스 모음
      23년 6월 08일 환경뉴스 모음

      칼렛스토어미래의 당연함을 만들다 기사 제목을 클릭하세요. 미세플라스틱, 식탁 위협···대책 시급 출처:투데이에너지(요약) 미세 플라스틱이 사료 원료로 사용되는 동물성 유지에서 검출되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유럽에서는 소, 돼지의 사료, 혈액, 우유, 고기...

      2023-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