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_icon
추천 검색어
search_icon
최근 검색어
최근 검색내역이 없습니다.
실시간 검색어
추천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재구매장바구니
    메뉴
    재구매
    마이페이지

      23년 12월 14일 환경뉴스 모음

      기사 제목을 클릭하세요.
       

      지난해 공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기준치보다 30% 감축
      출처:한국일보

      지난해 공공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기준치보다 30% 감축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 배출량은 2021년 대비 4.3% 증가했다. 일부 기관은 증가한 배출량을 보였으며, 코로나19 이후 일상회복으로 인한 이유로 설명됐다. 환경부에 따르면, 789개 기관의 배출량은 391만 톤CO2eq이었고, 지자체가 가장 높은 34.9%의 감축률을 기록하며 선두를 이뤘고, 지방공사·공단(30.2%), 공공기관(28.6%)이 이어졌다. 환경부는 2045년까지 공공부문이 2018년 대비 건물과 차량의 탄소중립을 달성하도록 계획하고 있다.

       

      中, 플라스틱 대체재로 '대나무'...가공 기업만 1만 곳 넘어
      출처:이로운넷

      중국은  대나무를 적극 활용하여 플라스틱을 대체하고 있다. 최근 '세계임목업대회'에서는 대나무로 만든 도시락, 책갈피, 컴퓨터 마우스, 키보드 등이 전시되어 눈길을 끌었다. 중국은 풍부한 대나무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대나무 수요가 계속 증가한다. 중국에는 대나무 가공 전문 기업만 1만 곳이 넘는다. 대나무 산업의 생산 가치는 2010년 820억 위안에서 2022년에는 4천153억 위안으로 5배 증가했다. 중국은 대나무를 플라스틱 대체재로 활용하기 위한 3개년 행동 계획을 발표하며, 2025년까지 대나무 제품의 품질과 다양성을 향상해 플라스틱 대체를 촉진할 계획이다.

       

      아프리카, 탄소배출권으로 연 1000억弗 번다
      출처:한국경제

      아프리카 국가들은 글로벌 탄소배출권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아프리카 탄소시장 이니셔티브(ACMI)를 통해 2050년까지 연간 1,000억 달러(약 130조 원) 규모의 탄소배출권을 수출하는 목표를 세웠다. 파리협정 이후 탄소시장이 자발적으로 확장되면서 아프리카가 주목받고 있는데, 아프리카는 아직 연간 탄소배출권 잠재량의 2%만 사용하고 있어 앞으로 성장이 기대된다. 아프리카의 민간기업도 자발적 탄소시장에 참여해 탄소배출권을 확보하고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스마트한 ESG 파트너 칼렛스토어
      지속가능한 포장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ESG 환경뉴스'의 다른 글
      23년 12월 13일 환경뉴스 모음

      기사 제목을 클릭하세요. 한국, 온실가스 배출 ‘기후 부채’는 517조원 ‘세계 9위’출처:경향신문한국의 기후위기 책임은 온실가스 배출 비중을 기준으로 517조 원으로 추산되어 전 세계 9위에 해당한다. 이 금액을 개발도상국과 저개발국에 2050년까지 배상한다고 가정하...

      2023-12-13
      [R U 환경사전] 친환경 표시·광고 가이드라인 8 : 원·부자재 및 용수 사용 절감에 대한 표시·광고
      [R U 환경사전] 친환경 표시·광고 가이드라인 8 : 원·부자재 및 용수 사용 절감에 대한 표시·광고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친환경 경영활동의정확한 표시 및 광고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발간했습니다.표시·광고 기본원칙, 환경관련 인증 획득 등 8가지 유형별 사례와 자가진단을 포함하며,잘못된 예시와 올바른 예시를 통해서 설명합니다.​오늘은 원·부자재 및 용수 사용 절감...

      2023-12-12
      2023 환경표지팝업스토어 '리펄프테이프' 전시
      2023 환경표지팝업스토어 '리펄프테이프' 전시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주관하는 환경표지팝업스토어가스타필드 고양점 올가홀푸드에서 열렸습니다. 칼렛스토어의 환경표지인증 EL103 획득한 리펄프테이프가 전시되었어요! 환경표지팝업스토어는 어떤 전시인지 알아볼까요?팝업에 전시된 리펄프테이프도 소개합니다! 환경표지팝업스토어출처:...

      2023-12-14
      23년 12월 15일 환경뉴스 모음

      기사 제목을 클릭하세요. 분리배출 폐플라스틱, 열에 넷은 재활용 불가출처:동아경제한국에서는 플라스틱 폐기물이 2021년 1,200만 톤으로 지난 5년간 50% 증가하면서 고품질 폐플라스틱 부족 문제가 제기되고, 실제 재활용률은 70%로 높지만, 재활용 어려움이 있는 포...

      2023-12-15
      스텝포넷제로 환경뉴스
      스텝포넷제로 환경뉴스

      <기사 순서>1.칼렛바이오, 물에 넣으면 종이만친환경 테이프2.한국, 온실가스 배출 ‘기후 부채’는517조원 ‘세계 9위’3.지난해 공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기준치보다 30% 감축4.서울시-플라스틱산업조합, '자원순환형 봉투' 25만9천장 보급5.中, 플라스틱 대체재로...

      202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