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렛스토어
미래의 당연함을 만들다
기사 제목을 클릭하세요.
온실가스 5분의 1로 주는데…재활용 않고 태우는 방역용 가림막
출처:연합뉴스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사용된 플라스틱 가림막이 재활용되지 못하고 소각 및 매립되고 있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5월부터 수거된 폐가림막은 약 1,185.5톤이 수거되었지만, 전체 발생량 대비 수거율은 약 12%에 불과하다. 가림막은 주로 아크릴로 만들어지며, 아크릴은 재활용에 유리한 플라스틱이지만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에틸렌(PE)과 같은 다른 재료로 만들어지기도 해서 재질별 분류가 어려워 재활용이 어렵다. 폐가림막은 '분리배출 표시' 의무가 없으므로 소각 또는 매립되고 있고, 폐가림막을 재활용하지 않으면 탄소 중립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국회의원은 플라스틱 가림막의 재활용 문제를 해결하려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폐배터리도 이제 ‘순환자원’…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사업 탄력받나
출처:헤럴드경제
환경부가 폐기물로 분류되던 폐배터리를 순환자원으로 지정하는 제정안을 행정예고 하여, 전기차 폐배터리와 기타 폐물을 순환자원으로 분류하게 됐다. 이로써 폐기물 규제에서 제외되며, 전기차 폐배터리는 안전한 상태에서 재사용하거나 에너지저장장치로 재제조할 경우에 순환자원으로 인정된다. 배터리의 회수, 유통 및 재활용을 민간 주도로 진행할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 GS, 에코프로 등 다수의 기업이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에 진출하고 있으며, 글로벌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은 2040년까지 약 77조5,700억 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부산 북구, 폐현수막 600여 장 재활용 우산·파라솔 제작
출처:부산일보
부산 북구는 폐현수막 600여 장을 재활용하여 516개의 우산과 30개의 파라솔을 만들어 환경오염 감소와 탄소중립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매립 또는 소각되던 폐현수막을 재활용하여 온실가스 및 다이옥신과 같은 오염물질 발생을 줄이고, 재활용을 촉진한다. 제작된 제품은 지역 행사와 구청에서 활용될 예정이며, 북구는 또한 지속해서 탄소중립을 위한 활용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마트한 ESG 파트너 칼렛스토어
지속가능한 포장 솔루션을 제시합니다